더케이내과의원

Anytime Internal Medicine

소아호흡기


언제든내과의원은 언제나 여러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Anytime Internal Medicine

소아호흡기란?

소아(어린이)의 호흡기계에 발생하는 질환 및 그와 관련된 진료 분야를 의미합니다.

아이들은 면역력이 약하고, 기관지가 좁아 감염이나 염증이 쉽게 발생하고, 성인과 달리 증상이 빠르게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증상이 가벼워 보여도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며, 기침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이 가빠지고, 입술이 퍼레지는 경우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소아(어린이)의 호흡기계에 발생하는 질환 및 그와 관련된 진료 분야를 의미합니다.

아이들은 면역력이 약하고, 기관지가 좁아 감염이나 염증이 쉽게 발생하고, 성인과 달리 증상이 빠르게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증상이 가벼워 보여도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며, 기침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이 가빠지고, 입술이 퍼레지는 경우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Anytime Internal Medicine

질환종류

/_files/6wKgdo6iF.jpg
감기(급성 비인두염)
소아 감기는 의학적으로 급성 비인두염이라고 하며, 코와 목(상기도)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생기는 가장 흔한 호흡기 질환입니다.
연 6~10회 이상 반복되기도 할 만큼, 특히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이들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90% 이상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코막힘, 콧물, 기침, 인후통, 미열, 고열, 식욕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두염
입과 목 사이에 위치한 인두(목구멍)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감기와 비슷하게 시작하지만, 목의 통증이 두드러지고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단순 감기와는 구분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인두염으로, 미열, 콧물, 기침, 가벼운 인후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지만,
세균성 인두염의 경우 갑작스러운 고열과 심한 인후통, 전신 쇠약감 등의 증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즉시 치료해야 합니다.
편도염
입 안 양쪽에 위치한 편도선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대부분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편도는 면역기관의 일부로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오히려 병원체에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면 통증과 고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후통, 고열, 임 냄새, 기침, 콧물, 편도선 비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면역력이 약한 아이에게서는 질환이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부비동염
흔히 '소아 축농증'이라고도 불리며, 아이들의 얼굴 뼛속에 있는 공기 주머니인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감기나 알레르기성 비염 이후에 발생하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 됩니다.
급성은 감기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되고, 콧물이 목뒤로 넘어가거나 발열이 있는 반면,
만성은 12주 이상 감기 증상이 지속되고, 만성 콧물, 코막힘, 코골이, 집중력 저하, 후각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털 등 특정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해 아이의 면역 체계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코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만성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간지러움, 눈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평소 알레르겐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Anytime Internal Medicine

예방법

  • 1
    외출 후,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에는 30초 이상 손을 씻습니다.
  • 2
    기침할 때는 옷소매나 휴지로 가릴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 3
    하루 2~3회 이상 환기하고, 미세먼지 많은 날은 공기청정기를 사용합니다.
  • 4
    흐흡기 관련 예방접종은 철저히 받습니다.
  • 5
    영양 균형과 충분한 수분 섭취로 면역력을 강화해줍니다.
  • 6
    겨울철 바이러스 유행기에는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Anytime Internal Medicine

치료방법

  • 1

    대부분 대증요법으로 치료하지만, 질환 발생 원인과 증상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 2

    열이 날 경우 물, 미온의 보리차 등을 자주 소량씩 제공하여 수분 섭취를 충분하게 해줍니다.

  • 3

    적절한 온도(22~24℃)와 습도(50~60%)를 통해 아이들에게 좋은 실내환경을 유지해줍니다.

  • 4

    고열 발생 시 소아용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이부프로펜(부루펜) 등의 해열제를 사용합니다. (용량 엄수)

  • 5

    목통증과 몸살이 심할 경우에는 해열진통제와 함께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 6

    아이가 해열제를 먹고도 열이 내리지 않거나, 3일 이상 고열이 지속된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7

    코막힘, 콧물이 심한 경우에는 생리식염수, 코호흡기를 사용해주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줍니다.